7.1 품사 체계
체언 |
명사 |
대명사 |
|
수사 |
|
용언 |
동사 |
형용사 |
|
수식언 |
관형사 |
부사 |
|
독립언 |
감탄사 |
관계언 |
조사 |
체언 |
명사 |
단일명사 |
대명사 |
인칭대명사 |
|
수사 |
수사 |
|
의존명사 |
일반의존명사 |
|
용언 |
동사 |
자동사 |
형용사 |
일반형용사 |
|
보조용언 |
보조동사 |
|
수식언 |
부사 |
일반부사 |
관형사 |
지시관형사 |
|
감탄사 |
감탄사 |
|
접사 |
접두사 |
접두사 |
체언접미사 |
체언접미사 |
|
용언화접미사 |
용언화접미사 |
|
조사 |
조사 |
격조사 |
어미 |
어말머이 |
종결어미 |
선어말어미 |
선어말어미 |
7.2 어절 유형
어절 유형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적용한 규칙
- 체언에서 접두사와 체언접미사는 체언부로 포함시키고 체언부에는 해당 정보를 부여한다.
- 지정사 '-이다' 는 용언화 접미사로 간주한다.
- 선어말어미와 어말어미를 어미부로 통합한다.
7.3 어절 형성 규칙
어절은 1개 이상의 형태소들로 구성되므로 단순히 어절을 연속된 형태소 집합이라 할 때 결합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형태소들로 정의된다. 또한 '형태소'는 어휘형태소와 문법형태소로 구분되고 어휘형태소는 문법형태소에 선행하므로
형태소를 어휘형태소와 문법형태소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검색엔진 > 형태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한국어 형태소 분석 개요 (0) | 2016.05.30 |
---|---|
8. 한국어의 음절 특성 (0) | 2016.05.30 |
6. 한국어의 형태론적 특성 (0) | 2016.05.30 |
5. 어절 빈도 조사 (0) | 2016.05.23 |
4. 코드 변환과 인코딩 (0) | 2016.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