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엔진/형태소

7. 품사 체계와 어절 유형

by 문죄송 2016. 5. 30.

7.1 품사 체계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용언

 동사

 형용사

 수식언

 관형사

 부사

 독립언

 감탄사

 관계언

 조사


체언 

명사 

 단일명사
복합명사
외래어
미등록명사

 대명사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수사

 수사
아라비아숫자

 의존명사

 일반의존명사
단위의존명사

 용언

 동사

 자동사
타동사

 형용사

 일반형용사
존재형용사

 보조용언

 보조동사
보조형용사

 수식언
독립언

 부사

 일반부사
접속부사

 관형사

 지시관형사
수관형사
성상관형사

 감탄사

 감탄사

 접사

 접두사

 접두사

 체언접미사

 체언접미사

용언화접미사 

 용언화접미사

 조사

 조사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

 어미

 어말머이

 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

 선어말어미

 선어말어미


7.2 어절 유형

    어절 유형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적용한 규칙
        - 체언에서 접두사와 체언접미사는 체언부로 포함시키고 체언부에는 해당 정보를 부여한다.
        - 지정사 '-이다' 는 용언화 접미사로 간주한다.
        - 선어말어미와 어말어미를 어미부로 통합한다.

7.3 어절 형성 규칙
   
    어절은 1개 이상의 형태소들로 구성되므로 단순히 어절을 연속된 형태소 집합이라 할 때 결합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형태소들로 정의된다. 또한 '형태소'는 어휘형태소와 문법형태소로 구분되고 어휘형태소는 문법형태소에 선행하므로
    형태소를 어휘형태소와 문법형태소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검색엔진 > 형태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한국어 형태소 분석 개요  (0) 2016.05.30
8. 한국어의 음절 특성  (0) 2016.05.30
6. 한국어의 형태론적 특성  (0) 2016.05.30
5. 어절 빈도 조사  (0) 2016.05.23
4. 코드 변환과 인코딩  (0) 2016.05.23